스택오버플로, 너마저?

싱가포르 도서자료, 안면인식, AI 모델 에너지등급

스택오버플로, 너마저?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의 결여는 더 이상 쟁점조차 아니다. 자본주의는 생각할 수 있는 것의 지평을 빈틈없이 장악하고 있다.

—마크 피셔 (박진철 역), <자본주의 리얼리즘>

AI 윤리 뉴스 브리프

2024년 5월 셋째 주

1. 스택오버플로의 태세 전환과 보복성 제재

출처: 스택오버플로
  • 스택오버플로 이용약관에는 이용자가 작성한 모든 콘텐츠를 플랫폼이 영원히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철회할 수 없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이용약관을 지렛대 삼아 플랫폼이 이용자 데이터를 마음대로 활용하는 현상은 물론 새로운 일이 아닙니다. ‘남용약관’이 플랫폼 자본주의의 기본적 작동 방식이라고도 볼 수 있죠. 앞으로도 계속 보게 될 이 광경을, 일반 이용자는 그냥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을까요? 게임의 규칙을 바꾸는 게 가능할까요?
🦜
덧붙이는 글
- 🎶소소: 커뮤니티 정신을 강조하던 스택오버플로, 정말 실망이네요. 결국 커뮤니티를 만든 이용자들이 아니라 돈이 되는 커뮤니티만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이 여실히 드러나네요.

더 읽어보기
- 데이터, 어떻게 팔아야 잘 판 걸까? ...팔아야 하는 걸까? (2024-03-25)
- 스택오버플로, ‘(사람) 커뮤니티가 AI의 미래다’ (2023-07-31)

2. 싱가포르 출판·문학계는 데이터 제공이 탐탁지 않다

  • 싱가포르 출판·문인들이 출판물을 AI 데이터로 활용하려는 정부 기조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싱가포르 정부는 말레이어, 타밀어, 화어 등 싱가포르에서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를 반영하는 자체 다국어 멀티모달 LLM[1]을 구축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문인들을 상대로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는 데 대한 의견 수렴을 했는데요.
  • 의견 수렴 이메일에서는 해당 데이터가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될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으나, 이용에 대한 보상이나 저작권 보호 관련된 설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문인들이 상당수 거부 의사를 표한 것입니다.
  • 저작권자 동의 없이 일단 모델을 구축하는 행태가 보편적인 분위기에서, 어떻게 보면 이 정도 의견 수렴도 정부 입장에서는 꽤 진취적인 행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한편 결국에는 정부 마음대로 문화콘텐츠를 이용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의견도 기사에 등장하고요. 하지만 비영어권 데이터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할 때, 장기적으로 출판·문인들의 신뢰와 협조를 얻는 일은 싱가포르 정부에게 생각보다 더 중요할지도 모릅니다.

  1. 텍스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되 여러 모달리티(modality)를 처리할 수 있는 AI 모델. 예를 들어 챗봇에 이미지를 주고 내용을 묘사하는 글을 출력하는 방식. 모달리티는 기호학에서 글/이미지/음악 등의 양태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AI 맥락에서는 ‘데이터 형식’과 비슷한 뜻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3. 현대중공업 노사갈등과 미국 대학 시위의 연결고리

Photo by Arthur Mazi on Unsplash

4. 우리 회사 AI는 에너지 1등급일까?

  • AI 기술의 환경영향에 관한 정량연구를 꾸준히 해오고 있는 허깅페이스 연구팀에서 “AI 모델용 에너지소비효율등급”(Energy Star Ratings for AI Models)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여러 AI 모델이 일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소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효율등급을 부여하고, ‘녹색 AI 리더보드’ 순위표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해요.
한국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 데이터센터의 탄소배출, 냉각수 등 AI 기술의 막대한 환경비용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모델의 환경비용 측정은 여러 이유로 쉽지 않습니다. 데이터 수집에서 모델 구축, 실사용을 아우르는 전 과정이 수많은 이해관계자와 인프라 사이에 걸쳐 있고,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기업 측에서 정보 공개를 꺼리기도 하지요.
  • 과학적 근거는 비판에 힘을 실어줍니다. 위 연구는 하드웨어, 입력값, 설정값 등을 통제한 조건에서 AI 시스템의 작동을 비교하여 환경비용에 관한 양적 데이터를 만듭니다. 특정 용도에 최적화한 모델보다 (프롬프트를 조작해 다용도로 활용하는) 제로샷 모델이 같은 작업을 할 때도 훨씬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초기 실험 결과는, 현재 테크업계의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경쟁이 기후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근거인 셈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끝없는 스케일 경쟁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기술을 중시하는 쪽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

#feedback

오늘 이야기 어떠셨나요?
여러분의 유머와 용기, 따뜻함이 담긴 생각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남겨주신 의견은 추려내어 다음 AI 윤리 레터에서 함께 나눕니다.